노을공원 아트 파빌리온
2024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사람들은 발 밑에 무엇이 숨겨져 있는지 알고 있을까?
노을공원이 위치한 지역은 난초와 지초의 향기가 나는 섬이라는 의미의 난지도로 불렸습니다. 신혼여행지기도 했던 난지도는 1978년 쓰레기 매립지로 결정되어 15년간 아파트 30층 높이의 거대한 쓰레기 산이 되었습니다.1993년 매립이 중단된 후 생태공원으로 변모했습니다.
우리는 노을공원의 단면과 그린레이어로 덮힌 생태공원 아래 숨겨져 사라져가는 기억을 환기시키고자 합니다.과거와 현재를 경계 짓는 표면을 변형하여,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관계를 재구성하고자 자연친화적이고 조형적 실험성이 돋보이는 호기심을 자아내는 아트 파빌리온을 설계했습니다.완전한 미래를 형상화한 구의 일부가 얕은 구조체가 되어 또 하나의 표면을 이룹니다. 2개의 표면으로 3개의 시점이 형성됩니다.그린 레이어를 통해 현재에서 과거로, 구조체 레이어를 통해 과거에서 미래로 연결합니다.
자연친화적인 건축은 친환경 소재의 사용 뿐만 아니라, 자연을 해치지 않는 것부터 고려해야 한다고 믿는 우리는 구조물이 지면과 닿는 부분을 최소화하였고, 장식을 지양하고 목재 구조미를 자랑하는 파빌리온을 디자인했습니다. 그리고 외피는 식물을 활용하여 서울과 노을공원의 풍경을 표현했습니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덩굴이 구조물을 덮는 과정을 시각화함으로써 시민들은 자연의 생명력을 몸소 체험할 수 있습니다.
살짝 열려진 그린 커튼의 틈새로 들어가면, 덩굴이 만들어낸 그늘길이 등장합니다. 기분 좋은 바람이 불어오는 푸른 그늘 아래를 걷다 보면 파빌리온의 두 번째 입구로 진입하여 새로운 공간이 펼쳐집니다. 내부에는 15년간 쓰레기가 쌓였듯 코르크 블록을 적층시켜 좌석과 계단을 만들었습니다. 그늘 쉼터이자 기존에 부재했던 이벤트 공간, 그리고 서울에서 노을이 가장 가깝게 보이는 이 공원에 걸맞는 전망대 역할을 합니다. 또한 목재와 코르크 블록은 쉽게 해체되며 벤치로 재활용되어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 선순환이 가능합니다.
덩굴과 구조목의 느슨한 틈을 통해 빛과 바람, 비와 수목의 그림자, 사람과 함께 곤충과 새가 드나드는 단절되지 않은 열린 공간. 자연과 건축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 도시와 시민들이 함께 만들어낸 현재,자연과의 공생으로 지속가능한 미이것이 파빌리온 ‘표면의 재구성’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입니다
Pavilion, Public arts, Competition
2024
Pavilion, Public arts, Competition
Seoul
Invited competition
1F
339 ㎡
성북동 썬룸
2023 - 2024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Residential
2023 - 2024
Residential
Seoul
Completed
1F
-
서산 농업체험단지
2023 - 2024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Factory, Hospitality, Masterplan
2023 - 2024
Factory, Hospitality, Masterplan
Seosan-si, Chungcheongnam-do
Proposal
1F
800 ㎡
삼성동 109-15
2022 - 2024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Office
2022 - 2024
Office
Seoul
Completed
4F + B1F
988 ㎡
921-1
2023 -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Office, Retail
2023 -
Office, Retail
Seoul
In construction
7F + B1F
-
W Villa
2022 - 2024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Hospitality
2022 - 2024
Hospitality
Seoul
Completed
1F
200 ㎡
133-6
2022 - 2023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Residential
2022 - 2023
Residential
Seoul
Design completion
2F + B1F
1,000 ㎡
자유CC 클럽하우스
2022 -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Hospitality
2022 -
Hospitality
Yeoju-si, Gyeonggi-do
DD Phase
2F + B1F
6,000 ㎡
수퍼빈 아이엠팩토리
2021 - 2023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수퍼빈 아이엠팩토리
아이엠팩토리, 공장 같지 않지 않은 공장, 화성시 우정읍 화산리에 자리잡은 친환경 재활용 공장의 이름이다. 건축 용도상 자원순환시설, 폐기물재활용시설인 아이엠팩토리는 폐기물공장이지만 공장처럼 보이지 않고 오히려 미술관에 가까워 보이는 건축물로 기존의 패러다임을 바꾸고자 하였다. 버려지는 쓰레기를 다시 소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선별 수집 시스템 및 물류 인프라를 재설계하여 모인 폐플라스틱이 고품질 플레이크로 제조되어 이윤이 되는 새로운 방식의 순환경제를 구축하는 새로운 유형의 건축물이다.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차별화된 친환경 재활용 공장
쓰레기가 돈이 되고 재활용을 놀이라는 일상의 문화로 만드려는 수퍼빈은 쓰레기와 문화라는 소재를 인공지능과 로보틱스 기술, 빅데이터의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기업이다. 아이엠팩토리는 쓰레기로 시작되는 새로운 순환경제 구축 중 하나로 개발된 네프론을 통해 선별 수집된 PET를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자체 기계를 통해 순도 높은 FLAKE로 가공하는 재활용 공장이다. 기존 폐기물 공장이 가지고 있던 먼지, 소음, 폐수, 악취 등의 문제를 4차 산업이 적용된 로봇과 기계를 통해 해결하여 폐기물 공장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재활용의 과정을 전시, 관람의 영역으로 확장시키고 나아가 문화적 컨텐츠까지 수용할 수 있는 건축물로의 차별화된 계획이 요구되었다. 가까이 가고 싶지 않은 혐오시설이 보여주고 싶은 장소인 복합문화시설이 되기 위해 외부 자연과 내부는 어떤 관계를 맺을 것인지, 자연을 어떻게 건축물에 유입할 지에 대한 고민으로 설계를 진행했다.
U자 형태의 창의적인 배치
기본적인 폐기물 공장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계설비가 들어갈 대공간의 확보가 필요했다. 수집된 PET는 약 150m 길이로 특수 제작, 배치된 기계들에 의해 전처리-분쇄-세척-건조-선별 공정을 거쳐 정화된 제품 FLAKE가 된다. 9,886㎡ 너비의 제약된 대지 안에 기계 배치를 위한 최소 15m 너비와 150m의 길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U자의 형태의 건물을 배치했다. 공정을 따라 일반적인 一자의 건물이 아닌 U자의 배치는 새로운 기능을 더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전에 없던 새로운 건물이 되었다. 긴 작업공간으로 1개층에 안정적으로 기계가 가능하고, U자의 윗면으로 차량의 동선이 정리되었으며 U자의 안쪽으로 사무, 전시, 문화의 공간이 집중되어 한 눈에 150m 가량의 공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명쾌한 건물이 되었다.
자연을 유입하기 위한 진입마당과 불규칙한 사각의 개구부
U자 형태 내부의 진입마당이 아이엠팩토리의 메인 인상이자 방문자의 동심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머물고 싶은 친근한 공간이 되기를 기대했다. 공간의 처음 시작인 진입광장에서 지그재그로 된 동선으로 경험을 유도하고 공장내부를 창으로 볼 수 있어 공장을 전시하는 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진입광장 조경 계획은 기존의 아파트 철거현장에서 버려진 나무를 재사용하여 배치하여 재활용과 버려지는 자원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제공한다. 진입마당을 마주하는 창은 커튼월로 계획하여 진입마당과 시각적인 소통을 할 수 있게 하였다. 그 외의 개구부는 층에 따라 일률화 되지 않은 불규칙한 정사각형의 개구부로 저층부에서는 공장의 일부의 작업을 전시하고 바라볼 수 있는 포토존이 되고 공장의 내부에서는 빛과 바깥의 자연 환경 조경을 적극적으로 유입하고 시시각각 변하는 빛과 그림자의 움직임과 조경을 끌어들여 공장 작업자들이 작업장 내에서 외부의 변화를 누릴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시민들이 참여하는 재활용 복합문화공간
폐기물공장으로 FLAKE 생산을 넘어 관람, 컨텐츠 개발로 참여할 수 있는 재활용 문화가 확장되는 장소를 제공하기 위한 복합문화공간을 계획하였다. 새로운 컨셉의 공간, 친환경 쓰레기 순환경제와 관련된 재활용 공정 견학과 업사이클링 체험 등 다양한 컨텐츠 제공을 통해 지역주민 및 방문자들의 인식에서 쓰레기가 가치가 되고 재활용이 친근해지는 의미 있는 공간으로 지역 주민 및 방문자들에게 사랑을 받기를 바란다.
Cultural, Factory
2021 - 2023
Cultural, Factory
Hwaseong-si, Gyeonggi-do
Completed
4F
5,520 ㎡
Interlocked Corner 78-19
2021 - 2022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Office
2021 - 2022
Office
Seoul
Completed
5F + B1F
300 ㎡
소통의 마당
2021 - 2023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Hospitality, Office
2021 - 2023
Hospitality, Office
Seoul
Completed
3F + B1F
693 ㎡
청라 더카운티
2019 - 2023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1986년에 개관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의 중앙에 자리잡은 로툰다는 건축가 김태수의 설계의도 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의 램프는 커넥팅 코리도(connecting corridor), 층층이 연결해 주는 메인 코어와 동선의 역할을 한다.
제안 대상지인 3층 옥상정원을 벗어나 국립현대미술관의 구심점인 로툰다와 주출입구까지 영역을 확장하였다. 로툰다를 중심으로 미술관 내부의 축이 자리잡고, 좌측과 우측에 층별로 전시실들이 배치된다. 전시실 간 수직이동이 가능한 곳도 있지만, 대부분 로툰다의 원형경사로를 이용하여 관람객들의 층별 이동이 유도된다. 옥상정원은 원형경사로의 최상단 지점에서 외부로 나가 다다르게 된다. 반지름 17m와 폭 6.5m의 원호가 만들어내는 도넛 형태의 바닥면적 600㎡ 옥상정원은 광활한 자연을 맞이하는 반듯한 공간이다. 외부로는 청계산, 관악산, 매봉산의 능선, 호수(과천저수지), 서울랜드 등이 파노라믹한 원경을, 그리고 내부로는 2층의 원형정원이 내려다보인다. 360도 선택적으로 열려있는 공간에 매료되지만, 한편으로는 방향성과 목적성을 잃은 채 옥상정원에서의 기억이 짧을 수도 있다.
원형 로툰다에서 파생되는 중심성, 대칭성과 축, 그리고 주요 전시공간들도 원형, 사각형 등의 순수한 지오메트리로 구성된다. 이러한 예측가능한 정형 속에 변형을 가하여 안정감 속에서 새로운 활력을 기여하고자 한다.
정형인 듯 하지만, 1개의 변곡점에서 2개의 원호가 합쳐져 생긴 궤도를 갖는 경사로를 제안하여 옥상정원에서 더욱 다양한 행위와 풍경을 의도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활용도가 적었던 2층의 원형정원과 3층의 옥상정원을 이어주는 외부 계단을 더욱 활성화시키고, 로툰다의 원형 경사로와 더불어 국립현대미술관의 이동 경험을 더욱 풍요롭게 해줄 장치이다. 경사로 구조물은 대형 오브제로 옥상정원에서도 압도적인 조형감을 표현하고 원경에서도 호기심을 자아낼 미술관 상부에 새로움을 상징한다.
의도된 기하학적 질서를 갖는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 “정형의 변형”을 통하여 작지만 강렬한 에너지를 발산하여 미술관 전체에 파급력을 끼치길 기대한다.
Residential
2019 - 2023
Residential
Cheongna
Completed
3F
281 ㎡
정형의 변형 - MMCA 과천프로젝트 2022
2021 - 2022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1986년에 개관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의 중앙에 자리잡은 로툰다는 건축가 김태수의 설계의도 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의 램프는 커넥팅 코리도(connecting corridor), 층층이 연결해 주는 메인 코어와 동선의 역할을 한다.
제안 대상지인 3층 옥상정원을 벗어나 국립현대미술관의 구심점인 로툰다와 주출입구까지 영역을 확장하였다. 로툰다를 중심으로 미술관 내부의 축이 자리잡고, 좌측과 우측에 층별로 전시실들이 배치된다. 전시실 간 수직이동이 가능한 곳도 있지만, 대부분 로툰다의 원형경사로를 이용하여 관람객들의 층별 이동이 유도된다. 옥상정원은 원형경사로의 최상단 지점에서 외부로 나가 다다르게 된다. 반지름 17m와 폭 6.5m의 원호가 만들어내는 도넛 형태의 바닥면적 600㎡ 옥상정원은 광활한 자연을 맞이하는 반듯한 공간이다. 외부로는 청계산, 관악산, 매봉산의 능선, 호수(과천저수지), 서울랜드 등이 파노라믹한 원경을, 그리고 내부로는 2층의 원형정원이 내려다보인다. 360도 선택적으로 열려있는 공간에 매료되지만, 한편으로는 방향성과 목적성을 잃은 채 옥상정원에서의 기억이 짧을 수도 있다.
원형 로툰다에서 파생되는 중심성, 대칭성과 축, 그리고 주요 전시공간들도 원형, 사각형 등의 순수한 지오메트리로 구성된다. 이러한 예측가능한 정형 속에 변형을 가하여 안정감 속에서 새로운 활력을 기여하고자 한다.
정형인 듯 하지만, 1개의 변곡점에서 2개의 원호가 합쳐져 생긴 궤도를 갖는 경사로를 제안하여 옥상정원에서 더욱 다양한 행위와 풍경을 의도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활용도가 적었던 2층의 원형정원과 3층의 옥상정원을 이어주는 외부 계단을 더욱 활성화시키고, 로툰다의 원형 경사로와 더불어 국립현대미술관의 이동 경험을 더욱 풍요롭게 해줄 장치이다. 경사로 구조물은 대형 오브제로 옥상정원에서도 압도적인 조형감을 표현하고 원경에서도 호기심을 자아낼 미술관 상부에 새로움을 상징한다.
의도된 기하학적 질서를 갖는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 “정형의 변형”을 통하여 작지만 강렬한 에너지를 발산하여 미술관 전체에 파급력을 끼치길 기대한다.
Infrastructure
2021 - 2022
Infrastructure
MMCA Gwacheon
Invited competition
1F
-
한 개의 현장, 네 개의 시나리오 - SBAU 2021
2021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세운상가가 부재한 대상지는 어떤 해상도를 가지고 있을지에 대한 상상이 본 프로젝트의 시작점이다. 이는 곧 세운상가가 없는 을지로 일대에 대한 상상이며, 메가 스트럭처는 시야에서 제거된다.
세운상가와 청계상가를 연결하는 보행통로에 자리하고 있는 계단을 중심으로 총 네 개의 응시점을 설정하여, 각기 다른 해상도를 조명한다. 첫 번째 뷰에서는 을지로의 좁은 골목을 조명한다. 두 번째 뷰에서는 종각타워, 삼일빌딩 등 근현대 건물들을 바라본다. 세 번째 뷰에서는 조선왕조의 종묘를 담는다. 네 번째 뷰에서는 우뚝 솟아 있는 타워크레인을 바라본다.
“여기서 시간을 해상도로 치환한다면, 종묘, 골목, 근현대건물 그리고 타워크레인순으로 배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TV의 해상도와 같이, 도시도 해상도가 높은, 즉 가장 최신의 모습이 우월하게 여겨져야 하는 것일까?”
The One Site and Four Scenarios explores the resolution of the site before the Sewoon Arcade. The imagination expands your curiosity into the past Eulji-ro without a megastructure in sight.
Four viewpoints at the stair along the pedestrian pathway each represent different degrees of resolution. The first viewpoint casts a narrow alley of Eulji-ro. The second frames modern architecture such as Jongno Tower and 3.1 Building. The third contains Jongmyo of the Joseon Dynasty. Lastly, the fourth guides the viewer towards a crane at construction site.
The varying resolution can be placed in a chronological order: Jongmyo, alleys, modern architecture, and tower crane. Should a higher resolution of urban elements be regarded superior as we grade a TV?
The One Site and Four Scenarios explores the resolution of the site before the Sewoon Arcade. The imagination expands your curiosity into the past Eulji-ro without a megastructure in sight.
Cultural, Public arts
2021
Cultural, Public arts
Sewoon Arcade, Seoul
Completed
2F
-
47 Modules
2019 - 2021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Civic Facility, Infrastructure
2019 - 2021
Civic Facility, Infrastructure
Seoul
Completed
1F + B1F
-
삼척 원전해제부지
2021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Masterplan
2021
Masterplan
Samcheok-si, Gangwon-do
Competition entry
1F
-
앙천재 [仰天齋]
2019 - 2020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Residential
2019 - 2020
Residential
Pyeongchang-gun, Gangwon-do
Completed
1F
200 ㎡
청파언덕집
2018 - 2020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청파언덕집은 서울로7017을 중심으로 서울역의 동측(회현동 일대)와 서측(서계동, 중림동 일대)를 아우르는 서울역 일대의 도시재생 프로젝트로 진행된 8개의 공공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거대 도시인 서울 도심에 연면적 150.32㎡의 소규모 앵커시설이 지니는 중요도와 역할에 대한 고민이 담긴 공간이다.
앵커시설 간의 네트워크 및 도시와의 소통
서울로7017과 서울역 인근이라는 지리적 이점으로 많은 방문객들이 도보로 접근 가능하며, 청파언덕을 상징하는 “CHEONGPA” 문구가 쓰여진 옹벽 바로 위에 인접하여 서울역 등 주변의 원거리에서 인지된다. 야간에는 건물 입면의 경관조명 계획으로 소규모 건축물임에도 서계동의 랜드마크로서의 잠재력을 지니며, 역으로 청파언덕집의 2층 테라스와 3층에서는 남산, 서울역, 광화문 일대의 도심 경관이 한 폭에 담길 경치를 제공할 전망대로 계획되어 쌍방향으로 도시와의 소통을 가능케 하였다.
시간의 켜
청파언덕집은 90도의 모서리가 없는 비정형 건물이다. 협소한 대지 안에서 삐뚤삐뚤한 대지경계선을 수용하며 유기적인 과정을 거쳐 자연스럽게 형성된 결과물이다. 구조체를 온전히 활용할 수 없는 기존 건물에서 진입 계단, 돌담, 바닥기초 등의 기단부와 도로에 면한 정면 벽체만 상징적인 흔적으로 유지하고 새로운 계획이 들어앉는다. 기존의 물리적 흔적을 슬며시 담은 건물은 스타코 마감의 솔리드 벽체와 유리창으로 구성되며 그 위에 반투명한 골판 폴리카보네이트를 덧대어 새로운 옷을 입혔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벽체와 중첩되기도 하며 투명한 유리창과 중첩되기도 하여 내부의 모습을 외부로 은은하게 드러낸다.
Civic Facility, Retail
2018 - 2020
Civic Facility, Retail
Seoul
Completed
3F
150 ㎡
Sequential Framing
2018 - 2020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Office, Retail
2018 - 2020
Office, Retail
Seoul
Completed
6F + B1F
598 ㎡
성수 복합 문화 발전소 _네오밸류 성수HQ
2020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Office, Parking, Retail
2020
Office, Parking, Retail
Seoul
Invited competition
13F + B2F
11,004 ㎡
청계하수역사체험관
2020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Cultural
2020
Cultural
Seoul
Competition entry
2F + B1F
-
미시감각: 문양의 집 - 설화문화전 2019
2019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Exhibition
2019
Exhibition
Amorepacific HQ, Seoul
Completed
1F
-
서로의 광장 _퍼시스 본사 4층
2019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Office
2019
Office
Seoul
Completed
1F
400 ㎡
세아 이노베이션 센터
2019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Office
2019
Office
Seoul
Completed
1F
200 ㎡
LKA #1
2019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Office
2019
Office
Seoul
Completed
1F
-
테라로사 커피공장
2019 - 2020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Hospitality, Retail
2019 - 2020
Hospitality, Retail
Gangneung, Gangwon-do
Design completion
5F + B1F
5,000 ㎡
DAN
2016 - 2018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고즈넉한 신문로2가에서 인왕산을 바라보며 경사진 도로를 따라 오르다 보면 DAN(단) 프로젝트를 만난다. 패션브랜드 사옥인 단의 단정한 모습은 첫 미팅부터 전달받았던 이 브랜드의 정체성을 꾸밈없이 보여준다. 이 사옥은 절대 가볍지 않은 회사의 의지를 담아 회사 고객과의 소통 그리고 직원 간의 소통에 초점을 두고 설계했다.
건물의 매스는 육면체에서 시작해 북측 사선제한, 도로에서의 진입, 외부로의 조망, 내부 간의 관계 등에 맞춰 조각되었다. 외부에서 도려낸 볼륨뿐 아니라 내부에서도 매스를 도려내어 소통의 장치를 마련했다. 입면의 3층에 비워진 부분은 외부와 내부의 도려냄이 중첩되는데, 외부-외부, 외부-내부, 내부-외부, 내부-내부로의 다양한 소통을 가능케 하며 연결고리가 되는 중요한 보이드다.
전면 도로에서 1층으로 올라가 원형 기둥이 나열된 회랑을 거쳐 3층까지 외부 계단을 통해 올라가면 새로운 마당에 도착한다. 회랑 정면부의 외부 공간은 외부인들에게도 개방되는 반면, 건물의 중간 지점인 3층 마당은 회사 직원들의 안식처이다. 건물로 진입해 5층까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외부 동선을 오르다 잠시 쉴 수 있는 곳이자 여러 층에 나뉘어 근무하는 직원들이 함께 모일 수 있는 곳이 된다. 동선은 바느질하는 실이 건물을 천 삼아 꿰고 올라가는 듯 다양한 지점에서 흥미로운 외부와 내부의 풍경을 제공한다. 3층부터 5층은 엘리베이터와 외부 수직 계단을 하나의 코어로 두어, 내부 업무 시설의 공간적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같은 실이 적층되는 3~5층은 내부 계단을 통해 직원 간의 협업 및 소통과 이동을 원활하게 돕는다.
미색 타일로 마감된 건물의 매스는 2층 바닥 레벨까지 노출콘크리트로 마감된 원형 기둥이 받치고 있다. 재료에 의한 구분에 더해, 규칙적으로 배치된 원형 기둥이 비대칭적인 상부 매스를 지지하는 모습이 규칙과 조형성을 구분 짓기도 한다. 인접 건물에 비해 규모가 있는 DAN(단)의 존재는 옛 감성이 묻어나는 질감의 타일로 마감하여 신문로2가의 정취를 유지하고자 했다.
Office
2016 - 2018
Office
Seoul
Completed
5F + B1F
800 ㎡
57E130 NY Condominium
2014 - 2017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in Urban Architecture
Manhattan’s Urban Grid System
The urban planning of Manhattan, in New York City, was established under the ‘Commissioner’s Plan of 1811’ in 1811. Now more than 200 years have passed, but this plan is still in effect and continues to fulfill its purpose by maintaining most of the original urban grid blocks and designated building types in each district. The building lot of the 57E130 NY Condominium is located in East Harlem, a residential district developed in the northeast of Manhattan under the 1811 plan. It’s one of twenty lots created by subdividing one of the two thousand urban blocks.
Buildings in one block stand side by side, and only leave a seismic gap of 1in (2.54cm)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city’s building regulations, every façade must align with the lot line at the roadside, and therefore they are often perceived as part of a collective entity that combines buildings through an attached wall system to form a block, rather than retain their identities as individual buildings. Buildings that have remained in place for 200 years, and the
combination created when they come together, are important focal points that every architect in Manhattan must approach carefully.
The attached wall system, the façade design based on a grid pattern, the windows of a long vertical plane, and the brick cladding all work together with the urban grid system and contribute to the unique context of Manhattan. Universality arising from such an urban context, which is governed by these strict building regulations deriving from the urban planning,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project.
Expressing an Elegant Individuality Beyond Universality
To introduce an ordinary mass or façade design that respects its surrounding context and expresses an elegant individuality – one that will not flaunt itself in the face of universality – the decision was made to use brick, an ordinary material, to create a façade design with a depth of 12in (30.48cm). To emphasise its depth, 90-degree angled standard bricks with a width of 8in (20.32cm) and 124, 135, 146 and 158-degree angled custom-made ones were combined into five different types of brickwork.
A typical façade pattern, in which each floor has three-bay openings with four pilasters, has been upheld, so all of the façades across the six floors appear
identical. Each pilaster has a width of 24in (60.96cm), and each opening of the windows, 40in (101.6cm). As for the pilasters, the half of their width is flat, and the other half is chamfered at a 45-dgree angle. This accentuates the depth of the façade.
The direction of the 45-degree chamfered surfaces changes without disturbing the overall harmony of the building and gives life to the monotonous 3 × 6 gridded façade. For these chamfered surfaces, 135-degree angled brick has been applied. There are two spots where pilasters have been arranged to adopt different widths according to internal conditions. 124, 146 and 158-degree angled bricks are used for them. When shadows are cast, the depth of the façades becomes ever more apparent.
Moreover, the identical brick corner details on the exterior avoid establishing a dichotomous relationship with adjacent public spaces. It’s not the façade that
marks the boundary between the street scenery and the building’s interior space. People are guided by the chamfered corners to walk into the building via a
buffer zone. With the accessibility of the ground floor secured, the building’s 6th floor and the rooftop’s southeast corner are cladded with 135-degree angled
brick so that the building and the sky can seamlessly blend into each other.
Optimizing Habitability and Maximizing Profitability While Keeping to an Error Range of 1in
57E130 NY Condominium is a rental apartment with six floors above and one below ground. As the building lot has a width of 18 ft-3in (5.56m) which is rather
narrow compared to the average lot width in Manhattan, I had to attend even to a 1in space – smaller than a brick module – to come up with an the optimali residential unit design.
The front area of the 1st floor consists of a lobby and elevator hall, and the rear area and the 2nd floor, duplex-type 3-bed units. The 3rd to 5th floor is filled with twobed units, and the 6th floor, 1-bed units. Consequently, the building offers a total of five types of units.
Individual units stack up floor by floor. The attached wall system allows them to have windows only at the front and rear. The building owner wanted two bedrooms in the rear area of each floor to secure profitability. To get the required approval from the NYC Council, the room size has to be larger than 8×10ft, and the room must have an opening exposed to outside air. Meanwhile, the gap between outer walls of loadbearing walls on both sides is 18ft. The depth of each loadbearing wall is 1ft, therefore the total depth is 2ft, And the depth of the lightweight wall between bedrooms is 6in. On balance, only a space with a width of 15ft-6in is left for two bedrooms. It was impossible to have them side by side while complying with the minimum room size of 8×10ft set by the city’s building code. However, this unfortunate situation could be resolved by placing the two rooms alternately.
In addition, spatial layouts and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were carefully chosen to comply with the minimum width of 3ft-6in for corridors and 5ft for toilets.
Residential
2014 - 2017
Residential
New York City, NY, USA
Completed
6F + B1F
746 ㎡
피앤씨랩스 서울오피스
2018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Office
2018
Office
Seoul
Completed
1F
200 ㎡
서빙고동 주민센터
2017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Civic Facility, Office
2017
Civic Facility, Office
Seoul
Completed
1F
202 ㎡
진짜와 가짜 사이 - APMAP 2016
2016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In an unexpected space along the entrance way to the mock-up building, one’s anticipation caused by the substantial concrete structure and the seeming elevator is unfamiliarly subverted. This leads to the subversion of the fixed conception of spaces and things and thereby bestows an intriguing significance upon the mock-up. Visitors are welcomed by two elevator openings at the lobby. Instinctively they enter one of the openings and encounter unexpected loop of stairs going up and down leading to the other opening. Such a nonsensical moment elevates the meaning of the whole experience and the definition of mock-up, which is a fake building. The steel stair structure is enclosed by PVC mesh of orance color which makes link to the safety fence at construction site of the real building.
Exhibition, Public arts
2016
Exhibition, Public arts
Amorepacific HQ, Seoul, Korea
Competition entry
1F
-
Cornerstone 1-532
2011 - 2012
Year
Program
Location
Status
Floor
Area
저층고밀도복합건물인 Cornerstone 1-532는 북측의 고급주택지역과 남측의 상업지역의 경계, 우후죽순 생겨나는 다세대주택, 인근의 추계예술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등 동네에서 일어나는 다양성을 차분히 받아들일 수 있는 담담하지만 서대문구 북아현동의 매력적인 건물이 되길 바랬다.
50평 대지에 건폐율 40%의 불리한 신축 조건.
하지만 사거리 모퉁이에 위치한 장점을 활용하였다. 도로에 면한 남측에서 서측으로 연속되는 곡면 형태를 택함으로 건물의 분절을 최소화하여 규모의 시각적 극대화를 시도하였다.
또 하나의 장점으로, 대지가 경사지에 위치하여 건물 양끝 지점 간에 반개층의 고저차가 발생한다. 1층 레벨을 높임으로써 반지하를 만들어 자연채광과 도로에서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였다.
1층은 대지경계선을 그대로 본따 형성한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곡면과 대조되는 새로운 지오메트리를 삽입하였다. 프레임은 건물매스 부분에만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도로에 면하는 대지의 서측면을 따라 캐노피로 연장되어 담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져, 외관상 건폐율 100%의 효과를 시도하였다. 건물 매스 밖으로 위치한 프레임은 경계의 역할 뿐 아니라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기능적인 역할도 담을 계획이다.
멀리서 접근할 때는 아스팔트 도로 위에 둥근돌 같은 매스가 육중하게 서있지만, 행인들의 시야 레벨에서는 수평 프레임에 끼워진 곡면 유리를 통해 건물 내외부가 교감하는 소통의 장치 역할을 한다. 다양함 속에 조화를 이루고자 무채색의 전벽돌로 건물매스의 담담함을 그리고 노출콘크리트로 프레임 부분을 표현하였다.
지하 / 1층은 근린생활시설, 2 / 3층은 아티스트 작업실로 계획되어 동일한 형태의 실들을 수직적으로 배치하였다.
Situated at a transitional node in the midst of scattered new developments with high-end residential area to the north, commercial area to the south, Cornerstone 1-532 projects the character of the site with a monolithic, continuous, and curved surface along the adjacent streets. The building quietly sits in as a neutral backdrop to the diverse textures of the surroundings.
Cornerstone 1-532 is a four-story mixed-use building with individual program per floor stacked vertically; commercial space on the first floor and artist studio/residence on the other floors.
Despite the small site area of 175 m² with 40% lot coverage ratio, the site bestowed with an advantage of a corner lot. The west and the south side of the site facing the street adopt a single curved facade to minimize the segmentation and to maximize the length of the facade surface. This creates a building mass larger than life, allowing a monolithic visual impact as a whole.
The first floor is framed by an extruded geometry of the pentagonal site's corner. This alien geometry on the curved facade represents the shape of the site, and the insertion of this frame to the full-height surface creates an interesting contrast. Different use of materials emphasizes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gestures. The curved surface is an aggregation of bricks, whereas exposed concrete creates the frame with curved glass fit in. This concrete frame also elongates towards the north boundary of the site functioning as canopy along the west side of the site.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Southeast and the Northwest points of the site by nearly one floor plays another key role to the character of the building. Raising the first floor by half level results in two separate entrances to the first and basement floors.
From apart, a single volume shows a monolithic gesture like a stone placed on asphalt pavement, which represents calmness to the unanticipated events around and harmonizes the variety. But as approaching, the building speaks up through the transparent glass frame.
Office, Retail
2011 - 2012
Office, Retail
Seoul
Completed
3F + B1F
310 ㎡